-
[Git] [GitHub] 깃허브 사용법(왕초보)study 2021. 1. 28. 23:51
몇일 전부터 깃허브를 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생소해서 많이 해맸지만 지금은 꽤 익숙해졌다.
처음접하는 사람에게는 어려울 수 있는 내용이기 때문에 아주 친절하게 설명을 해보았다.
일단 'Git'을 설치한다.
git-scm.com/ <git다운로드>
그리고 'Github'에서 회원가입을 해야한다.
'Github'는 'Git'을 다루는 클라우드(?)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사이트이다.
github.com/ <github로그인>
회원가입을하고 로그인을 했다면 새로운 repository를 생성한다.
그러면 이렇게 새로운 repository가 생성된다. 이때 하늘색 상자안에 주소를 잘 봐두자
이제 컴퓨터에 새 폴더를 만들어보자. 나는 폴더명을 'python'으로 정했다.
그리고 폴더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고 'Git bash Here'을 클릭하면
이런 창이 뜬다.
자 이제 시작이다.
여기에 git init 명령어를 입력한다. 이 명령어는 폴더를 git이 추적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 git init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폴더 안에 .git 폴더가 새로 생성된다. 만약 보이지 않는다면 (아마 안 보일 것이다.)
보기 > 옵션(폴더 옵션) > 보기 > '숨김 파일, 폴더 및 드라이브표시' 를 체크하면 볼 수 있다.
그리고 git remote add origin 명령어를 입력하고 아까 하늘색 박스 안에 있었던 주소를 복사해서 붙여넣는다.
- git remote add origin 주소
그러면 이 폴더는 우리가 지정해 놓은 repository에서 사용할 준비가 된 것이다.
이제 명령어를 입력하던 검은 창을 닫고 repository에 업로드하고 싶은 파일을 폴더로 옮긴다.
그리고 다시 우클릭으로 'Git bash Here'을 클릭해 검은 창을 띄운다.
여기에 명령어 git status를 입력한다. 그러면 빨간 글씨로 새로 추가된 파일이 뜬다.
이 파일은 처음보는데 뭐야?(쉽게 이해하기 위한 표현이다.) 라고 하는 것이다
- git status
그리고 git add . 명령어를 입력한다. 폴더의 모든 파일을 추가하는 것이다.
- git add .
그리고 git commit -m "커밋내용" 명령어를 입력하면, " "안에 있는 내용대로 파일이 repository에 업로드된다.
- git commit -m "커밋내용"
이대로 업로드하려고 하면 얘가 '너 누군데?'라고 물어본다.
따라서 '나'임을 보여줘야 한다.
그 명령어는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 과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 이다.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
-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
이제 마지막으로 git push origin master 명령어로 파일을 깃허브 repository에 업로드한다.
- git push origin master
다시 깃허브에 돌아가서 새로고침을 하면 방금 업로드된 파일을 볼 수 있다.
나는 전에 올려놓은 파일이 있어서 파일이 여러 개인데 아마 이걸 처음 해본 사람은 방금 업로드한 파일 하나만 있을 것이다.
우측 상단을 보면 이런 것이 있다.
여기서 소위 말하는 '잔디'를 볼 수 있다. 하루마다 파일을 업로드하면 한 칸이 초록색으로
칠해져서 '잔디를 심는다'라고 말하기도 한다.
귀엽다 사실 이 방법말고 다른 방법도 많은데 여러가지 시도해본 결과 나에게는 이 방법이 가장 쉬웠던 것 같다.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sNet 논문 리뷰 (0) 2021.12.01